프로그래밍 식별자 표기법 5가지

식별자

식별자는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변수, 클래스, 메서드등을 구분을 짓기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며
각각의 표기법이 존재한다 .

식별자 명명

  1. 헝가리안 표기법
  2. 파스칼 표기법
  3. 캐멀 표기법
  4. 스네이크 표기법
  5. 케밥 표기법

대표적으로는 이 5개가 있습니다 .

헝가리안 표기법

식별자를 만들 때 식별자의 접두어로 자료형을 작성하는 방식

ex)

int iScore = 90;
double dPi =3.14;

장점은 자료형이 무엇인지 접두어를 보고 알 수 있지만...

요즘에 쓰는 vscode , eclipse , pycharm, intelliJ
모두 변수에 마우스만 가져다 대면 자료형이 무엇인지 뜨기 때문에
잘 안 쓰는 추세이며,
오히려 지저분 해 보이고
데이터 타입이 바뀔 시 변수를 다시 작성해야하며
오히려 코드를 한번에 파악하기도 어려워지기 때문에
최근에는 과거에 비해 언급조차 많이 줄어들은 표기법이다.

파스칼 표기법

파스칼 표기법은 식별자 첫글자를 대문자 , 만약 합성어일 경우 뒤에 나오는 단어 첫글자도 대문자로 작성하는 형태를 말하며

자바의 경우 클래스명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.

예시이다.

public class Pascal {
}

public class FabricPerfume{

}

최근에도 많이 사용하는 방식의 표기법으로

개발이라는 것 자체가 대부분 여러사람과 협업을 해야 하는 관계이므로 이러한 규칙들을 서로 지켜 나가야 하며
지키지 않을 경우 협업이 굉장히 힘들어 질 수 있기에 꼭 지켜야 한다.

캐멀 표기법

img

낙타를 의미하는 Camel 에서 나온 표기법이다 .

앞에서 말한 파스칼과 달리 첫 글자를 소문자로 하며
합성어일 경우 이후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현하는 방식이다.

캐멀 표기법 같은 경우 변수명 또는 메서드 명을 작성 할 때 많이 사용된다.

예시

int card = 100; //단어가 하나일 때 

int mathScore = 90; //단어 2개의 합성어 

public static void printAnswer(){

}

캐멀 표기법 또한 최근 많이 사용하는 표기법으로 따르지 않을 경우 협업을 할 때 팀원들이 상당히 힘들어 할 수 있기에 꼭 숙지하는게 좋다.

스네이크 표기법

캐멀과 달리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작성하며

두 단어 이상의 합성어 일 경우 언더바 _ 를 통해 구분을 짓습니다.

예시


int math_score = 90;  

자바 보다는 C++ 쪽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.

회사마다 허용을 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.
(아무래도 카멜과 겹치는 부분이 있다보니...)

케밥 표기법

스네이크와 같이 전부 소문자로 표기하는 것을 동일하나
합성어일 경우 단어 사이에 하이픈 - 을 넣어서 구분시켜줍니다.

HTML CSS 쪽에서 많이 사용하는 표기법입니다.
예시
math-score
computer-science
이런형태로 많이 작성을 합니다 . 백엔드 쪽에서는 잘 안보이긴 합니다..
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WEB] CORS 에러란 ? ..  (0) 2025.02.27
지역 변수와 멤버 변수  (1) 2024.01.21
컴퓨터가 음수와 양수를 표현하는 방법, 2의 보수  (0) 2024.01.18